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직업 관련 이야기 - 부동산 금융49

[생각정리] 전직 신탁사 직원이 생각하는 지역주택조합(feat. 잘 모르겠다면 하지 마세요 제발) '지역주택조합' 부동산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단어 줄여서 '지주택' 이 단어만 봐도 화가 날 사람들이 굉장히 많고 민감한 사람도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신탁사에 오래 재직했던 사람이라면 지역주택조합 자금관리대리사무 수주 및 관리 꼭 해봤을 것이다. 15년부터 붐이 일어나기 시작해 한때 감기처럼 엄청 많이 생겼다 없어졌다 반복 했던 지역주택조합... 필자도 신탁사 재직하며 대략 20개 이상의 현장을 관리 경험하며 마음고생을 많이 했었다. * 조합원들에게 받은 민원, 조합장 및 업무대행사와의 분쟁(신탁사 직원은 자금관리에 대한 선관주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싸울수밖에 없다..) , 각종 용역사 및 시공사증권사 와의 분쟁... 많은 사람들이 지주택은 사기고 절대 하면 안되며, .. 2023. 1. 6.
[생각정리] 부동산 투자에 대한 단상1- 나만의 기준을 정하기 부동산 금융업 쪽에 종사하고 있고 부동산 투자도 해오고 있어서 종종 생각나는 대로 글을 써볼까 한다. 지금도 여러 블로거, 유튜브 등 전문가나 일반 투자자 분들의 글 등을 많이 보고 있지만 보기만 하고 내 생각을 정리를 안한다면 뭔가 잃어 버리는 느낌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부동산 투자를 해오면서 많지는 않지만 매도, 매수를 해왔는데 그 때마다 판단의 기준이 달랐다. 보통 부동산을 매수하려고 하면 해당 부동산이 어떤상품인지, 위치가 어디인지(입지), 내가 가진돈이 얼마인지 등 기본적인 판단 기준이 있는데 스스로 그 기준에 맞춰 매수한다면 추후 어떤 결과가 있더라도 후회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때 어떤 투자자 분이 했던 말같은데 " 그 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참 공감되는 말이다. 내가 아무리 예측.. 2023. 1. 6.
일반인들이 경험하는 부동산 신탁은 뭘까?(feat. 아주 간단하게 정리) "부동산신탁" 생소한 단어이다. 나도 사실 해당 회사에 재직하지 않았으면 자세히 몰랐을 것이다. 시행을 하거나, 시공사에 재직 또는 대출하는 금융기관에 재직하지 않는 이상 접할 일이 많지가 않은게 사실이지만 그래도 접하게 되는 가장 많은 두가지 케이스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고자한다. 1.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 등을 분양받을 때 매도자로 접하는 신탁사 2. 전세 또는 월세 계약을 하려는데 부동산소유자가 신탁사 1번의 경우는 신탁사가 건축주(또는 사업주체)가 되는 신탁상품을 분양받게 되는 경우이다. 요즘은 사업비 확보하고 가거나 시공사 크레딧을 많이보기 때문에 이 경우 수분양자가 피해보는 경우가 많이 줄었으므로 길게 설명하진 않고 찐 시행 주체가 별도로 있는 상태에서 신탁사가 형식적인 사업주체가 되어 사업장.. 2023. 1. 5.
언제쯤 끝날까?(feat. 부동산 빙하기) 매일 쏟아지는 비관적 기사를 접하기도 하지만 현업에 있는 입장에서 체감하는 시장은 더욱 차갑다.. 이 업계에 발담군지 9년차의 어찌보면 주제넘는 판단일수도 있겠지만 오징어 게임 속 대사 " 이러다 다 죽어~~" 이 말이 요즘 상황을 대변해준다 ㅠㅠ 한달에 3~4개 딜은 했었는데 ..지금은 0개!! 여러가지 요인이 뒤섞여 빙하기가 왔다고 생각하지만 역시 큰 이유는 금리 라고 생각한다. 저축은행 등의 PF는 올인 12% 수준인데다 이마저도 여러가지 부수조건들 때문에 취급하기가 어렵고, 시행자는 높은 금리와 너무 뛰어버린 공사비,,, 그리고 경색된 분양시장때문에 사업을 시작할수가 없다.. 기존에 브릿지나 PF 대출 만기가 도래할텐데, 대환도 원활치 않고 여러모로 걱정이 많아지는 시기이다... 이런 환경속이지만.. 2023. 1. 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