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 관련 이야기 - 부동산 금융

[생각정리] 부동산 투자에 대한 단상 2(feat. 저가매수)

by 띵킹두잇 2023. 1. 14.
728x90
반응형
SMALL

부동산 투자를 한지 오래되진 않았지만

나는 늘 투자의 기본 원칙이라고 하면

비싸게 사지 않기, 즉 싼 걸 사는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아니 싸고 좋은게 어디있어? 물건은 다 제 값 하는 거지'


솔직히 맞는 말씀이다.

하지만 내 주관적 생각으로는 부동산은 조금 다르다.

물론 가격이 싸다는 것은 그만큼 무언가 부족하다는 뜻이다.


하지만 그 부족한 부분이 채워질 예정이 있거나(흔히 호재라고 하는)

아니면 그 동안 가치를 인정 받지 못한 경우가 있는 등

다양한 저평가 물건들이 존재한다.

이 부분은 지역분석이 되어야 하므로 쉬운 영역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라 생각한다.


쉽게 그동안 부동산을 한다고 하는 사람들이 흔히 투자하는

저평가 투자에는

1. 신도시 또는 택지개발지구 아파트 분양권

2. 재개발 조합원 물건 (흔히 딱지 투자라고하는)


이 있었다.

분양가 상한제 등으로 인해 낮은 분양가 등으로

입주 후 도시 조성이 어느정도 끝날무렵의 예상마진이

실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장화신고 들어가서 구두 신고 나온다는 말이 생길정도로

흔한 투자방식이었다.

솔직히 필자도 추천하는 방법중에 하나이고 필자도 하고 있는 투자이기도 하다.

시간이 지나면 리스크 대비 수익이 괜찮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꼭 이렇게 해라는건 아니고 이런 보편적인 방법이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

필자가 생각하는 두번째 저평가 투자는

하락기에 고점대비 20~30% 빠진 물건중에

옥석을 고르는 것이다.


이 부분은 어느정도의 리스크를 수반하기에

해당 지역에 대해 분석이 끝난 후에 확신이 생길시 추천하는 방법이다.

필자 개인적 의견으로는 지금이 이 두 번째 방법을 실현해볼 적기이지 않을까 싶다.

필자도 노력하고 있으나 기존 보유 물건 때문에 쉽지는 않을 것 같다.

앞으로 우리 나라는 인구 구성의 변화가 극심하여

부동산 투자도 기존공식이 완전히 통하지 않는

사회로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서 다들 성공적인 투자를 하길 바라며

이 글을 마침

728x90
반응형
LIST

댓글